모하치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하치 전투는 1526년 헝가리 왕국과 오스만 제국 사이에 벌어진 전투로, 헝가리군의 참패로 끝났다. 이 전투는 헝가리 왕국의 멸망과 오스만 제국의 팽창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헝가리는 오스만 제국, 합스부르크 가문, 트란실바니아 공국으로 분할되었고, 헝가리 사회는 큰 변화를 겪었다. 모하치 전투는 헝가리인들에게 국가적 트라우마로 남아 있으며, 오늘날까지도 헝가리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기억된다.
헝가리는 오랜 기간 동안 동남부 유럽을 침략해오는 오스만 제국에 저항하였다. 그러나 1521년 베오그라드와 샤바츠의 함락은 헝가리 남부의 대부분이 방어할 수 없는 상황에 처했음을 보여줬다. 오스만 제국의 세력 확장에 반격하기 위해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왕 러요시 2세는 1522년 카를 5세의 여동생인 마리아 폰 외스터라이히[65]와 결혼하여, 서서히 다가오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 합스부르크 오스트리아의 힘을 빌리고자 하였다.
1526년 4월 16일, 쉴레이만 1세가 직접 이끄는 오스만 제국군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출발하여 헝가리를 향해 진군했다.[57] 헝가리 귀족들은 다가오는 위협의 심각성을 깨닫지 못하고 왕의 소집령에 즉각 응하지 않았다. 러요시 2세는 7월 2일까지 군대를 이끌고 진영에 참여할 것을 명했으나, 정작 그날 아무도 나타나지 않았다. 왕이 직접 진영을 설치하는 모범을 보인 후에야 움직임이 시작되었다.[57]
1526년 8월 29일, 모하치 평원에서 헝가리군과 오스만 제국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다. 헝가리군은 제대로 조직되지 않은 군대를 가지고 있었으며, 실제 병력과 전투 시간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전투는 오후 1시에서 2시 사이에 시작되었고, 종료 시간은 불분명하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2~3시간 정도 지속되었다고 주장하지만, 오스만군이 밤에 야영을 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4~5시간 동안 지속되었을 가능성도 있다.[59]
모하치 전투의 승리가 오스만 제국에게 당장 원하는 안전을 가져다주지는 못했다. 부다에 진입하여 성과 주변을 약탈했지만, 얼마 후 물러났다.[47] 오스만 제국이 1541년 부다 공성전을 거쳐 부다를 함락하고 점령한 것은 1541년이 되어서였다. 그러나 모하치 전투는 통일된 독립 헝가리 왕국의 종말을 의미했다.[67] 헝가리는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가문, 트란실바니아 공국으로 나뉘었다.
2. 배경
오스만 제국은 발칸에서 이들 세력들이 결성한 동맹의 힘이 커지는 것을 위험하게 보고, 동맹을 분쇄시킬 계획을 세웠다. 쉴레이만 1세는 튀르크 정권을 장악한 뒤 헝가리인들에게 적어도 한 차례, 가능한 한 두 차례의 평화협정을 제안하였으나, 러요시 왕이 이를 거부한 이유는 확실치 않다.
러요시 왕은 헝가리의 외부적인 정치상황(특히 1525년 칼디란 전투 이후 폴란드-오스만 동맹이 결성되는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전쟁이 평화보다 더 나은 선택이라고 판단했을 수 있다. 평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오스만군은 헝가리 땅을 공격하고 많은 영토(국경의 성들을 포함)를 점령하였으나, 여전히 최후의 전쟁은 헝가리에게 승산이 없는 듯했다. 1526년 6월 말, 오스만 제국 군이 다뉴브강을 건너 원정을 위한 진군을 시작했다.
당시 오스만 제국은 쉴레이만 1세 시대였으며, 1522년 로도스섬의 성 요한 기사단을 물리치는 등 국력과 전력 모두 충실하였다. 쉴레이만 1세는 벨그라드를 "유럽의 관문"이라 일컫으며, 더욱 유럽 진출에 의욕을 보였다.
1526년 4월 쉴레이만 1세는 6만 명 이상의 병력과 300문의 대포로 구성된 대군을 이끌고, 헝가리 정복을 위해 이스탄불에서 진군하였다.
2. 1. 헝가리 왕권 약화 (1490-1526)
1490년 마티아스 1세가 사망한 후, 헝가리 귀족들은 강력한 왕을 원하지 않았기에 의도적으로 허약한 울라슬로 2세를 보헤미아에서 왕으로 추대했다. 그는 1490년부터 1516년까지 헝가리 왕으로 재위했다.[10] 울라슬로 2세는 모든 청원과 문서를 승인하는 습관 때문에 "도브르제"(Dobrze, 헝가리어로 Dobzse) 왕으로 알려졌다.[10]
새로 선출된 울라슬로 2세는 대부분의 헝가리 왕실 영지, 왕실 재산(régale) 및 왕실 수입(royalties)을 귀족들에게 기증했다. 이로 인해 중앙 정부는 심각한 재정난을 겪었고, 귀족들은 왕실의 비용으로 자신들의 영지를 확장했다. 의회의 귀족 계급은 세금을 70~80% 줄이는 데 성공하여 국가 방어 능력을 약화시켰다.[11] 울라슬로 2세는 귀족들의 동의 없이는 어떤 결정도 내릴 수 없었다.
마티아스 1세의 헝가리 흑군(Black Army of Hungary)은 귀족들에 의해 해산되었다. 귀족들은 전국적인 행정 시스템과 관료 조직을 해체했고, 국경 수비대와 성 수비대는 봉급을 받지 못해 요새가 낡아갔다. 방어를 강화하기 위한 세금 인상 계획은 억제되었고, 헝가리의 국제적 역할은 감소했으며, 정치적 안정은 흔들렸다.[12] 프로테스탄티즘의 등장은 국가 내부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다.
1514년, 약화되고 노령이 된 울라슬라프 2세는 도자 죄르지(György Dózsa)가 이끄는 대규모 농민 반란에 직면했고, 이 반란은 자폴야 야노스(John Zápolya)의 지휘 아래 귀족들에 의해 무자비하게 진압되었다. 농민 반란의 진압은 헝가리가 정치적으로 통합되지 못하게 만들었고, 이는 1526년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크게 기여했다.
2. 2. 오스만 제국의 팽창과 헝가리의 대응
쉴레이만 1세 치하의 오스만 제국은 발칸 반도로 세력을 확장하며 헝가리를 위협했다. 헝가리는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 합스부르크 가문과 동맹을 맺었지만, 실질적인 지원은 미미했다.[65][13][14] 1521년 베오그라드 함락은 헝가리 남부 방어선이 무너졌음을 의미했고, 이는 헝가리에 큰 위협이 되었다.
1523년 헝가리 귀족들은 베오그라드 탈환을 위해 군대를 소집했지만, 준비 부족과 내분으로 실패했다.[17] 당시 유럽은 이탈리아 전쟁과 종교개혁 등으로 혼란스러웠고, 헝가리는 고립된 상황에 놓였다.
3. 전투 준비
헝가리군은 며칠 동안 진군하면서 지원군을 기다리지 않았고, 모하치 근처의 평원을 전장으로 선택하는 심각한 전술적 실수를 저질렀다. 이 평원은 개방되어 있었지만, 질퍽한 늪지대가 있어 평탄하지 않았다.[57]
헝가리군은 세 개의 부대로 나뉘었다. 서포여이 야노시 휘하의 트란실바니아 군대는 트란실바니아알프스 산맥의 길목을 지키는 임무를 맡았고, 8,000명에서 13,000명 사이의 병력이었다. 주력군은 러요시 2세가 직접 지휘했으며, 여기에는 스페인, 독일, 체코, 세르비아 용병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크르스토 프란코판이 지휘하는 약 5,000명 규모의 또 다른 소규모 부대도 있었다.[57] 지형 때문에 오스만군의 최종 목표는 발칸 산맥을 넘을 때까지 결정되지 않았다. 불행하게도 오스만 군이 산맥을 넘었을 때, 트란실바니아 군대는 오스만 군보다 부다에서 훨씬 더 멀리 떨어져 있었다.[57]
헝가리군은 도나우강의 지류인 모하치 근교의 평원을 전장으로 선택했다. 오스만군은 거의 방해받지 않고 진군했다. 러요시 2세가 부다에서 기다리는 동안, 오스만군은 사바강과 드라바강을 건너 여러 마을을 공격했다. 러요시 2세는 약 25,000명에서 28,000명의 병력을 모았지만, 오스만군은 50,000명에서 65,000명 정도였다.[57][58][66] 헝가리군은 지형의 이점을 활용하여 오스만군을 각개격파하려 했다.[57]
오스만 군대는 당시 최대 규모의 야전 포병대를 배치하여 약 300문의 대포를 보유했던 반면, 헝가리군은 85문의 대포만 보유하고 있었다.[19] 예니체리 중 절반만이 아르케부스와 머스켓을 사용했고, 나머지 절반은 여전히 전통적인 궁술을 사용했다. 모하치 전투 당시 오스만 제국은 손 화기 숫적 우세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40] 전투 중 오스만 제국은 화기를 무릎 꿇고 사격하는 자세를 사용했는데, 이는 최초의 사례였다.[6]
4. 전투
쉴레이만 1세의 선봉 부대인 루멜리아 군대가 전장에 도착했을 때, 팔 토모리가 이끄는 헝가리군에게 공격받아 궤멸되었다. 헝가리군의 공격은 오스만군에 혼란을 야기했지만, 오스만 예비군이 도착하면서 전열을 재정비했다. 헝가리군은 오스만군의 포병과 소총 사격에 큰 피해를 입었고, 결국 포위되어 대부분 전사하거나 포로로 잡혔다.[59]
헝가리군의 배치는 두 줄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줄은 중앙에 용병 보병과 포병, 양 측면에 기병이 배치되었고, 두 번째 줄은 징집 보병과 기병이 섞여 있었다.[41] 오스만 군대는 티마르 기병과 루멜리아 및 발칸 반도에서 징집된 병력으로 구성되었다.[42]
헝가리 우익은 한때 쉴레이만 1세를 위협할 정도로 진격하여 그의 흉갑에 화살이 명중하기도 했지만, 오스만 정예 부대인 예니체리의 돌격으로 헝가리군은 무너졌다. 특히, 오스만군의 대포와 예니체리 소총병은 헝가리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전투는 헝가리군의 궤멸로 끝났다. 후퇴하던 러요시 2세는 강을 건너다 말에서 떨어져 갑옷의 무게 때문에 익사했다.[59] 쉴레이만 1세는 젊은 적수의 죽음을 애도했다고 한다.[43] 헝가리 귀족과 지도자 약 1,000명이 전사했고, 초기 전투에서 14,000명 이상의 헝가리 병사가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5][46]
헝가리군은 맹렬한 포화와 측면 공격에 전진하여 훈야디 야노시가 오스만군을 상대로 자주 사용했던 함정에 빠졌다.[44] 쉴레이만은 이 작은 군대가 헝가리의 전부라는 사실을 믿을 수 없어, 부다로 진격하기 전 모하치에 며칠 동안 머물렀다.[47] 8월 31일, 2,000명의 헝가리 포로가 술탄의 명령에 따라 학살당했다.[31]
5. 영향
이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군이 승리한 결과, 헝가리 영토는 분할되었다.
헝가리 평원으로 진출한 오스만 제국은 헝가리 중앙부를 150년간 지배했다. 공석이 된 헝가리 왕위에는 헝가리 귀족들이 선택한 사포야이 야노시와, 합스부르크가가 1515년 규정에 따라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왕으로 선출한 카를 5세의 동생 페르디난트 1세가 즉위하여, 두 왕조가 대립했다.
유럽, 특히 독일에서는 부정적인 흐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재정을 장악한 후거 가문은 로마 가톨릭 교회의 면죄부 유통을 통제했는데, 이는 여러 가지 이유로 국제적인 스캔들과 강한 사회적 불안으로 이어졌다. 1517년 이후 유럽 여론은 마르틴 루터가 시작한 종교 개혁으로 점점 더 몰두하고 분열되었다. 1524년부터 1526년까지의 독일 농민 전쟁은 상당한 세력을 동원했고, 물질적 피해 외에도 1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냈다.
프랑수아 1세는 1525년 2월 24일 파비아 전투에서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군대에 패배했다. 프랑수아 1세는 수개월 동안 감옥에 갇힌 후 마드리드 조약에 서명해야 했다. 유럽 외교의 전환점에서 프랑수아는 카를 5세에 대항하는 동맹으로 술탄 술레이만 1세와 공식적인 프랑스-오스만 동맹을 맺었다. 프랑스-오스만 전략적 동맹(때때로 전술적 동맹)은 약 3세기 동안 지속되었다.[18]
5. 1. 헝가리 분할 통치
모하치 전투의 패배로 헝가리는 오스만 제국, 합스부르크 가문, 트란실바니아 공국으로 분할 통치되었다.[67] 헝가리 왕위는 헝가리 귀족이 선출한 사포야이 야노시와 합스부르크 가문의 페르디난트 1세가 동시에 차지하며 대립했다.[47]
오스만 제국은 헝가리 중부를 150년간 지배했으며, 헝가리인들은 이에 저항했다. 헝가리 왕위 계승 경쟁에서 패한 야노시의 요청에 따라, 슐레이만 1세는 1529년 다시 헝가리에 진군하여 비엔나를 포위했다.(제1차 비엔나 포위)
5. 2. 오스만 제국의 유럽 진출
모하치 전투의 승리가 오스만 제국에게 당장 원하는 안전을 가져다주지는 못했다. 비어있고 방비가 허술한 부다에 진입하여 성과 주변을 약탈했지만, 얼마 후 물러났다.[47] 오스만 제국이 1541년 부다 공성전을 거쳐 부다를 함락하고 점령한 것은 1541년이 되어서였다. 그러나 모하치 전투는 통일된 독립 헝가리 왕국의 종말을 의미했다.[67] 헝가리는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가문, 트란실바니아 공국으로 나뉘었다.
오스만 제국은 헝가리 중부를 소유하고, 괴뢰국인 트란실바니아에 대한 종주권을 주장했다. 오스만군은 헝가리를 차지하기 위해 러요시 2세의 처남이자 합스부르크 가문의 오스트리아 대공 페르디난트 1세와 대립하게 되었다. 오스트리아는 보헤미아를 포함한 서쪽의 헝가리 영토의 3분의 1, 현재 크로아티아의 일부를 차지하였다(로얄 헝가리).
헝가리 왕위 계승 경쟁에서 패배한 사포야이 야노시의 요청에 따라, 1529년 슐레이만 1세는 다시 헝가리에 진군하여 비엔나를 포위하며 유럽을 위협했다.
5. 3. 헝가리 사회의 변화
이 전투의 결과, 헝가리 왕국은 세 지역으로 나뉘었다.[50][51][52]
지역 | 설명 |
---|---|
합스부르크가가 통치하는 왕령 헝가리 (1526년 - 1867년) / 헝가리 왕국(1000년 - 1918년) | * 바나트 군사 국경 지대 (군사 국경 지대) |
동헝가리 왕국 (1529년 - 1570년) / 트란실바니아 공국 (1571년 - 1711년) | * 트란실바니아 군사 국경 지대 (군사 국경 지대) |
오스만 제국령 헝가리 (1541년 - 1699년) / 부딘 에얄레트 (1541년 - 1686년) |
오스만 제국은 헝가리 평원으로 진출하여 150년간 헝가리 중부를 지배했다. 헝가리 왕위는 공석이 되었고, 헝가리 귀족들은 사포야이 야노시를, 합스부르크가는 1515년 규정에 따라 카를 5세의 동생 페르디난트 1세를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왕으로 선출하여 두 왕조가 대립했다. 1529년, 헝가리 왕위 계승 경쟁에서 패한 야노시의 요청으로 슐레이만 1세는 다시 헝가리에 진군하여 비엔나를 포위했다(제1차 빈 공방전).
모하치 전투 이후 헝가리는 전쟁터가 되어 국토가 황폐화되고 인구가 감소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이후 헝가리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지배를 받으며, 민족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오스만 전쟁 동안 헝가리 왕국이 통제하는 영토는 약 60% 감소했다. 이러한 영토와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작고 전쟁으로 황폐해진 왕립 헝가리는 16세기 후반 오스트리아 세습지나 보헤미아 왕관령만큼 경제적으로 중요하게 남았다.[48] 페르디난트의 영토 중 고갈된 헝가리 왕국은 당시 그의 가장 큰 수입원이었다.[49]
6. 유산
모하치 전투는 헝가리인들에게 국가 운명의 결정적인 쇠락과 민간의 기억에 국가적인 트라우마를 남긴 사건으로 여겨진다. 헝가리인들은 개인적으로 매우 힘든 고난에 처하게 되면 "모하치의 패배보다 더하다."라는 표현을 사용한다.[68] 오늘날 헝가리인들은 모하치 전투를 유럽의 강대국이자 독립국이던 헝가리의 종말로 본다.[53]
모하치 전투는 결정적인 패배였지만, 완전히 독립적인 헝가리의 종말을 가져온 것은 그 여파였다. 그 후 200년 동안 합스부르크 제국과 오스만 제국 사이의 거의 끊임없는 전쟁은 헝가리를 영원한 전장으로 만들었고, 그 영토는 세 부분으로 분열되었다. 농촌은 끊임없이 오가는 군대에 의해 황폐화되었고, 인구 또한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54] 19세기에 들어서야 헝가리는 이전의 영토를 재건했고, 합스부르크 지배로부터 완전한 독립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야 이루어졌다.
1976년 모하치 전장은 전투 450주년을 기념하여 국가적인 기념 유적지가 되었다. 기념비는 건축가 죄르죄 바다시가 디자인하였다.[55] 바다시가 설계하고 유럽 연합의 부분적인 자금 지원을 받은 새로운 접견실과 전시 건물이 2011년에 완공되었다.[56]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2009
[2]
웹사이트
Battle of Mohacs
https://islamansiklo[...]
[3]
서적
The Age of Wars of Religion, 1000–1650: An Encyclopedia of Global Warfare and Civilization
Greenwood Press
2006
[4]
웹사이트
Battle of Mohacs | Summary
https://www.britanni[...]
[5]
웹사이트
Battle of Mohacs
https://islamansiklo[...]
[6]
서적
Guns for the Sultan: Military Power and the Weapons Industry in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Science & Civilisation in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ume 5, Chemistry and Chemical Technology, Part 7, Military Technology: The Gunpowder Epi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9]
서적
The Gunpowder Age: China, Military Innovation, and the Rise of the West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Hungary
https://www.britanni[...]
2008-11-21
[11]
서적
Origins of Political Order: From Pre-Human Times to the French Revolution
[12]
웹사이트
A Country Study: Hungary
http://geography.abo[...]
Geography.about.com
2010-08-29
[13]
서적
From Nicopolis to Mohács: A History of Ottoman–Hungarian Warfare, 1389–1526
Brill
[14]
서적
Ottomans, Hungarians, and Habsburgs in Central Europe: The Military Confines in the Era of Ottoman Conquest
https://books.google[...]
Brill
2021-12-17
[15]
서적
Die Habsburger: ein biographisches Lexikon
https://books.google[...]
Piper
2021-12-15
[16]
서적
Ferdinand I., 1503–1564: Fürst, König und Kaiser
https://books.google[...]
C.H. Beck
2021-12-15
[17]
간행물
The Magnates of Hungary and the Turkish Threat in the Jagiellonian Era (1490-1526)
https://catalog.libr[...]
[18]
서적
[19]
서적
War and Technolog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
서적
European Warfare, 1350–175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European Warfare, 1350–175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인터뷰
Interview with Balazs Németh
https://web.archive.[...]
2022-08-18
[23]
인터뷰
Interview with János B. Szabó
https://web.archive.[...]
2020-08-29
[24]
웹사이트
The Unconventional Memory of Mohács
https://web.archive.[...]
2016-08-29
[25]
웹사이트
sizes of armies during hungarian ottoman wars
https://web.archive.[...]
[26]
학술지
An Absence Explained: Archduke Ferdinand of Austria and the Battle of Mohacs
https://www.cambridg[...]
2022-09-19
[27]
학술지
Comments
1966-01
[28]
웹사이트
Lengyel Hősi Emlékmű – Mohács
http://www.mohacs.hu[...]
2018-02-02
[29]
서적
Balkans Since 1453
[30]
서적
Hungary and the fall of Eastern Europe, 1000–1568
[31]
서적
Battles That Changed History: An Encyclopedia of World Conflict
[32]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33]
서적
Winning at war: seven keys to military victory throughout history
[34]
서적
World History
[35]
서적
Turkey
[36]
서적
The Ottoman Empire, 1326–1699
[37]
웹사이트
Battle of Mohács article
https://www.britanni[...]
[38]
서적
When Ethnicity Did Not Matter in the Balkans: A Study of Identity in Pre-Nationalist Croatia, Dalmatia, and Slavonia in the Medieval and Early-Modern Period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9]
서적
The Heirs of Archimedes: Science and the Art of War Through the Age of Enlightenment
https://www.google.c[...]
MIT Press
2020-02-11
[40]
서적
Lepanto 1571 The Madonna's Victory
https://books.google[...]
Pen & Sword Books
[41]
간행물
The Battle of Mohacs: The Fall of the Hungarian Empire
2004-09-01
[42]
서적
Ottoman Warfare, 1500–1700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43]
학술지
The World of Süleyman the Magnificent
National Geographic Society
1987-11-01
[44]
서적
Hungary and the fall of Eastern Europe 1000–1568
[45]
서적
A Dictionary of Military History and the Art of War
[46]
서적
One Europe, many nations: a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national groups
[47]
서적
The Timeless Nation – The History, Literature, Music, Art and Folklore of the Hungarian Nation
Hungaria Publishing Company
2015-11-19
[48]
서적
The Holy Roman Empire, 1495–1806: A European Perspective Volume 1 van Brill's Companions to European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49]
논문
The Financial Administrative Reforms and Revenues of Ferdinand I in Hungary
http://www.tti.hu/im[...]
[50]
서적
De Turcarum moribus epitome
https://books.google[...]
apud Ioan. Tornaesium
[51]
서적
Gonzalo de Argote y de Molina's Discurso sobre la poesía castellana contenida en este libro (i.e. El libro de Patronio o El conde Lucanor) and Bartholomaeus Gjorgjević
https://books.google[...]
J.H. Furst
[52]
서적
Bartholomäus Georgievićs Türkenschrift"De Turcarum ritu et caeremomiis" (1544) und ihre beiden deutschen Übersetzungen von 1545: Ein Beitrag zur Geschichte des Türkenbildes in Europa
https://books.google[...]
Verlag Hans-Dieter Heinz
[53]
서적
The Memory of the Jagiellonians in the Kingdom of Hungary, and in Hungarian and Slovak National Narratives
Routledge
[54]
서적
A History of Hungary
[55]
웹사이트
Historical Memorial at Mohács
http://hungarystarts[...]
Hungarystartshere.com
2010-08-29
[56]
뉴스
Visitors' center at Mohács battlefield memorial site inaugurated – Caboodle.hu
http://www.caboodle.[...]
2012-02-23
[57]
서적
Balkans Since 1453
[58]
서적
Hungary and the fall of Eastern Europe, 1000-1568
[59]
서적
A Dictionary of Military History and the Art of War
[60]
서적
One Europe, many nations: a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national groups
[61]
서적
술레이만
시공사
[62]
서적
처음읽는 터키사
휴머니스트
[63]
웹사이트
모하치 전투
https://terms.naver.[...]
[64]
웹사이트
모하치전투
https://terms.naver.[...]
[65]
기타
[66]
서적
A Concise History of Hungary
[67]
웹사이트
헝가리가 주권을 빼앗기다
https://terms.naver.[...]
[68]
웹사이트
헝가리가 주권을 빼앗기다
https://terms.naver.[...]
[69]
웹인용
Historical Memorial at Mohács
http://hungarystarts[...]
2009-0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